동백패스 환급 및 신청방법, 삼성페이, 티머니, 모바일교통카드

부산시 대중교통 이용자들을 위한 혜택으로 월 4만 5천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는 동백패스!
이 글에서는 동백패스 환급 및 신청방법, 삼성페이, 티머니, 모바일교통카드 연결 가능여부, 혜택, 대상, 적용 교통수단, 발급 방법 등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동백패스란?

“동백패스”는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동백전 카드로, 2023.8.1(화)부산시에서 최초로 도입된 대중교통 통합할인제입니다.

동백전 교통카드를 사용한 대중교통 이용분에 대한 것을 정책지원금으로 환급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동백전 교통카드를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후, 그 다음 달에 정책지원금인 동백전으로 이용요금을 환급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합니다.

기존에는 후불형 교통카드만이 발급되어 왔으나, 2024년 3월 18일부터는 선불형 동백패스가 도입되어 추가로 후불형 체크카드 발급이 어려웠던 분들도 선불형 동백패스를 통해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동백패스 종류 및 대상

동백전 교통카드 종류로는 충전형인 선불형 동백패스와 후불형 동백패스 체크카드가 있으며, 만 18세 이상 가입이 가능합니다.

1. 선불형 동백패스카드

선불형 동백패스카드는 충전식 동백전 카드에 교통카드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부산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충전한 금액에서 요금을 차감하는 방식입니다.

선불형 동백패스카드 혜택으로는 기본혜택인 가맹점 5% + 동백플러스 가맹점 이용 캐시백+소득공제 최대 40%에서  추가로 동백패스 교통비 환급액 최대 4만 5천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후불형 동백패스카드(체크카드)

후불형 동백패스카드는 농협, 하나, 부산은행에서 발급 가능하며, 은행 계좌를 연결하여 결제일을 정해 놓고 자동 결제가 되는 후불형 교통체크카드로 교통비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카드입니다.

신청은 영업점 방문 또는 모바일뱅킹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ATM을 통해 입출금도 가능합니다.

가맹점에서는 간단한 결제가 가능하지만 캐시백 혜택은 제공되지 않고 교통비 환급만 가능하나, 동백전 앱을 통해 충전 후 가맹점에서 결제를 하면 선불형과 같이 캐시백 혜택이 제공됩니다.

3. 청소년 동백패스카드(2024년 7월 시행됨)

만 13~18세를 위한 청소년 동백패스는 2024년 7월 1일 부터 시행되었으며, 월 최대 25,000원 까지 환급해 주는 청소년 선불교통카드입니다.

청소년 동백패스 선불교통카드 신청방법 상세보기

동백패스 환급

동백전 교통카드를 통한 부산 대중교통 이용 시, 월 4만 5천원 초과 사용 시 최대 4만 5천원까지 동백전으로 환급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동백패스카드로 대중교통 8만원 사용시 익월 3만 5천원이 환급되며, 10만원 사용시 익월 4만5천원이 환급됩니다.
즉 교통사용금액에서 4만5천원을 뺀 금액에서 최대 4만 5천원 까지 환급되는 제도입니다.

  • 동백패스 교통카드 8만원 사용시 : 80,000 – 45,000 =35,000원 환급
  • 동백패스 교통카드 10만원 사용시 : 100,000 – 45,000 =55,000원 이나 최대 45,000원까지만 환급됨

다음 표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용기간 부산 대중교통 이용금액 환급액 비고
매월 1일~말일 45,000원 이하 없음
70,000원 25,000원 70,000원-45,000원
90,000원 45,000원 90,000원-45,000원
100,000원 45,000원 최대 환급액 45,000원

동백패스 적용 교통수단

부산 시내버스, 마을버스, 도시철도, 경전철, 동해선 등 대부분의 대중교통 수단에 적용되며, 2000번 버스는 제외됩니다.

동백패스 신청방법

동백패스 신청방법
동백패스 체크카드 종류 (부산은행, 농협, 하나 체크카드)

동백패스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실물카드(동백전 선불or후불교통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해야 하며, 후불 교통체크카드는 부산은행, 하나카드, 농협은행에서 발급가능합니다.

신청방법은 동백전앱을 설치한후 회원가입을 하고 동백전 교통카드를 발급 받은후에 다시 동백전 앱으로 들어간 후 동백패스에 가입해야 합니다.

대체로 스마트폰 부산 동백전 앱에서 동백전 교통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으며, 2G 폰이나 본인 명의 스마트폰이 아닌 경우에는 은행 영업점을 방문하여 신청해야 합니다.

1. 동백패스 신청방법(온라인)

 

동백패스 발급방법
동백패스 카드신청
스마트폰에 동백전 앱 설치 → 회원가입 → 동백전 메인화면 → 카드신청 선택 → 선불카드(계좌없이가능) or 원하는 은행권(부산,하나,농협)의 후불체크카드(은행계좌필요) 선택 → 신청하기 클릭 → 신청후 일주일 내로 집으로 카드배송됨

2. 동백패스 실물카드 받은후 동백패스 가입

동백패스
동백패스 가입

동백패스(동백전 후불교통 체크카드)를 직접 받으셨으면, 스마트폰 동백전 앱으로 들어가서 동백패스에 가입하시면 됩니다.

동백전 앱 메인화면 → 동백패스 선택 →  가입하기 선택 → 약관동의 후 가입

동백패스 주의사항

  • 동백전 앱에서 동백패스 가입은 필수이며, 실물 카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 삼성페이 등의 모바일 결제 시에는 환급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아래에 상세설명)
  • 카드 변경 시 익월 사용분부터 환급이 적용됩니다.

예시:

  • 동백전(후불교통카드) 발급 + 동백패스 가입 + 대중교통 8만원 사용 = 익월 3만 5천원 환급
  • 동백전(후불교통카드) 발급 + 동백패스 미가입 + 대중교통 8만원 사용 = 익월 환급금 미지급

동백패스 모바일교통카드 연결

동백패스 교통카드를 발급 받고나면, 모바일교통카드 연결되는지가 궁금해 질 겁니다.
그만큼 거의 다 스마트폰으로 바로 교통카드를 이용하니까요.

하지만 아쉽게도 동백패스(동백전 후불교통 체크카드) 모바일교통카드 연결은 티머니는 불가하며, 삼성페이는 하나카드, 농협은 등록가능하나 환급이 안된다고 합니다.

동백패스카드 모바일교통카드 등록 불가 이유 정리

1. 동백 체크카드의 모바일 티머니 후불형 등록 불가

  • 현재 동백 체크카드는 폰/워치의 모바일 티머니 후불형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 후불형은 카드 실물로 버스/지하철을 태그할 때에만 적용되며, 모바일 티머니 후불형은 실제 이용 금액을 등록된 카드로 청구하는 방식입니다.

2. 모바일 티머니 후불형은 카드의 신용한도와 관련

  • 모바일 티머니 후불형은 등록된 카드의 신용한도를 차감한 뒤, 이용 금액을 등록된 카드로 청구하는 방식입니다.
  • 이는 모바일 티머니의 특성과는 어울리지 않아 등록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합니다.

3. 삼성페이 서비스는 등록 가능하지만, 환급 대상에서 제외

  • 동백패스체크카드 중 농협과 하나카드는 삼성페이에 등록이 가능하나, 해당 결제로 이루어진 교통비는 동백패스의 혜택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4. 동백패스카드는 실물 카드로만 등록 가능

  • 동백전 앱을 통해 가입한 동백패스카드는 실물 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합니다.
  • 모바일교통카드 등록은 동백전 후불교통카드의 실물 카드로만 가능하며, 모바일 티머니 후불형은 해당 서비스의 특성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5. 환급 대상은 실물 카드로 찍은 부분에 한정

  • 동백패스의 혜택은 동백전 후불교통카드의 실물 카드로 버스, 지하철을 태그한 부분에만 적용됩니다.
  • 따라서, 모바일 페이를 통해 결제한 교통비는 환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동백패스의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실물 카드를 활용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모바일 티머니 후불형 등록이 불가능하며, 모바일 페이로 결제한 교통비는 혜택 대상에서 제외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결론

부산시의 대중교통 이용자들을 위한 혜택으로 도입된 “동백패스”는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효과적인 서비스로 평가됩니다.
이를 통해 시민들은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더 나은 경제적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동백패스의 다양한 혜택과 주의사항을 숙지하여, 부산시민들에게 편의와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는 이 서비스가 더욱 널리 알려지고 활용되기를 기대합니다.

동백패스 환급금 사용처 및 결제방법

 

error: Content is protected !!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